경동맥 협착
- 질환소개/건강 일반
- 2018. 12. 9. 15:02
안녕하세요? 닥터QL 김성훈입니다. 오늘은 건강검진의 보편화로, 흔하게 발견되는 '경동맥 협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경동맥 협착이란?
경동맥은 심장에서 나오는 대동맥궁에서 분지되어 얼굴, 뇌로 혈액을 공급하는 동맥입니다. 경동맥은 다시 '외경동맥'과 '내경동맥'으로 분지됩니다. 외경동맥은 얼굴 부위로, 내경동맥은 뇌로 혈액을 공급합니다. 경동맥 협착이란, 경동맥이 당뇨, 고혈압, 고지혈증등에 의해 혈관벽이 두꺼워지고, 딱딱해져 혈관이 좁아지는 것을 말합니다.
2. 경동맥 협착으로 인한 증상
협착이 50% 진행되어도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경동맥 초음파를 통해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흔합니다. 문제는 경동맥 협착이 급작스럽게 진행되거나, 혈관에 쌓여있던 '죽상경화반'에서 혈전이 떨어져나가 뇌로 가는 혈관이 막히면 뇌경색이 발생합니다. 이로인해, 발음장애, 언어장애, 편마비, 감각이상 등의 다양한 증상이 나타납니다.
3. 경동맥 협착의 진단
가장 많이 쓰이는 방법은 '경동맥 초음파'입니다. 초음파를 이용해서, 혈관벽의 두께, 죽상경화반 유무 및 경동맥 협착 정도를 직접 확인하는 검사입니다. 고혈압, 당뇨병 등의 위험인자가 있는 환자는 주기적으로 검사해서, 경동맥 협착의 유무를 확인해야 합니다.
그 밖에, CT나 MRI등을 통해 경동맥 협착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4. 경동맥 협착의 치료
협착이 심하지 않다면, 고혈압, 고지혈증 등의 위험요인을 치료하고, 아스피린과 같은 항혈소판 제제를 복용하여, 진행을 최대한 예방하게 됩니다. 협착이 심하고, 경동맥 협착에 의한 뇌경색 또는 일과성 뇌허혈발작 등의 증상이 동반되는 경우, '경동맥 내막 절제술'로 좁아진 혈관을 넓히기도 합니다.
또한 수술이 어렵거나, 동반 질환이 많다면 '경동맥 스텐트 삽입술'을 시행하기도 합니다.
경동맥 협착은 뇌경색을 유발하는 중요한 원인입니다. 그래서, 경동맥 초음파로 협착을 발견해서 치료 한다면 뇌경색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당뇨, 고혈압, 고지혈증의 위험인자를 가지고 계신 분들과 고령이신 분들은 주기적 검사를 통해, 뇌경색을 예방하셔야 합니다.
사랑합니다. from Dr QL
'질환소개 > 건강 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마트폰, 우리의 뇌를 바꾼다 (0) | 2018.12.22 |
---|---|
호르몬 (0) | 2018.12.11 |
편두통 (0) | 2018.12.09 |
염증수치란? (0) | 2018.10.27 |
2018년 성인 예방접종 일정표 (0) | 2018.09.16 |
이 글을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