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혈압교육 1
- 질환소개/심장 질환
- 2017. 4. 30. 23:51
1. 고혈압이란 무엇입니까?
높은 혈압을 말하며, 정상 혈압 수치보다 클 때를 의미합니다. 우리가 측정하는 혈압에는 두 가지가 있습니다. 높은 혈압인
수축기 혈압과 낮은 혈압인 이완기 혈압입니다. 수축기 혈압은 심장이 피를 전신순환으로 펌프질하는 순간의 혈압을 말하고, 이완기 혈압은 심장이 이완하면서 다시 피를 모을 때의 혈압을 말합니다. 보통 혈압은 ‘130에 80이다’는 식으로 수축기 혈압을 먼저 말합니다. 기록할 때는 130/80으로 씁니다. 수축기 혈압이 140이상이거나, 이완기 혈압이 90이상일때 고혈압이 있다고 합니다.
2. 정상 혈압과 권장 혈압은 얼마인가요?
18세 이상의 성인에서 정상 혈압은 120/80 미만인 경우입니다.
고혈압 전단계는
1) 수축기 혈압이 120~129 이거나,
확장기 혈압이 80~84인 ‘1기 고혈압 전단계’
2) 수축기 혈압이 130~139 이거나,
확장기 혈압이 85~89인 ‘2기 고혈압 전단계’로 세분합니다.
당뇨병이 있거나 신장 질환이 있는 사람은 130/85 이하로 혈압을 유지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3. 고혈압의 원인은 무엇입니까?
대부분의 경우(95%) 밝혀진 원인이 없습니다. 심장 펌프 기능은 너무 세고, 혈관은 너무 좁기 때문에 동맥의 압력이 높습니다. 이것은 수도꼭지를 틀어 호스 구멍을 좁히면 압력이 높아지는 것과 같은 원리입니다.
때때로 고혈압은 신장(콩팥)이나 다른 드문 질환에 의해서 발생합니다. 지나친 음주는 중요 원인 중 하나입니다.
4. 누가 고혈압에 걸립니까?
누구나 고혈압에 걸릴 수 있습니다. 국내 30세 이상 인구중 약 30%의 유병류을 보이는 대표적인 ‘국민병’입니다.
혈압은 나이가 들수록 올라가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람들은 고혈압을 인지하지 못합니다. 위험을 알리는 증상조차 없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질환소개 > 심장 질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혈압 환자는 저염식을 해야하나요? (0) | 2017.12.17 |
---|---|
130/80mmHg 이상부터 고혈압??!! (0) | 2017.11.26 |
심부전이란? (0) | 2017.10.08 |
심방세동, 혹시 나도? (0) | 2017.10.07 |
고혈압교육 2 (0) | 2017.04.30 |
이 글을 공유하기